2024년 여름, 한때 14달러를 찍으며 시장의 ‘떠오르는 AI 기대주’로 주목받던 리졸브 AI(RZLV).
그러나 현재 주가는 $1.13, 90% 이상 하락한 상태다.
“이건 단순한 주가 조정이 아니다.” 그 이면엔 구조적인 위험이 존재한다.
이번 글에서는 리졸브 AI의 스팩 구조, 기업 성격, 재무 상태, 급락 원인, 상장 리스크까지 모든 면을 총체적으로 뜯어보자.
리졸브 AI는 ‘AI 기술 기반 IT 서비스 및 핀테크 컨설팅’을 표방하는 회사로 알려져 있어.
하지만 중요한 사실은…
실제로 이 회사는 현재 아무런 운영도 하지 않는다.
정확히는, **아마다 애퀴지션 I (Amada Acquisition I)**라는 이름의 **스팩(SPAC)**에서 합병을 통해 리졸브 AI라는 이름을 얻게 된 상태.
즉, 현재의 리졸브 AI는 본격적인 영업을 시작하지도 않은, ‘빈 껍데기 기업’에 가까운 상태야.
✳️ SPAC이란?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번역하자면 ‘기업인수목적회사’.
본업 없이 IPO로 자금을 먼저 모은 뒤, 적절한 기업을 찾아 합병해 상장시키는 방식.
이 구조의 특징은?
장점 단점
- 빠른 상장 가능 - 검증 안 된 기업도 상장 가능 - 초기 투자자 수익 구조 - 수익 구조, 실적이 없음 - 테마 타이밍 노림수 - 합병 실패 시 ‘청산 리스크’ 리졸브 AI는 바로 이런 스팩을 통해 상장된 비실적 기업인 것.
한 마디로 상장 전부터 영업 기반 없이 기대감만으로 움직였던 종목이라는 뜻이야.
이후 주가는 매주 하락을 거듭하며 결국 $1대 초반까지 내려옴.
최근엔 52주 최저가 $1.07을 갱신했지.
📉 주요 재무지표 (2023~2025)
항목 | 수치 (USD 기준) |
매출액 | 0.15 (2023.12) |
당기순이익 | -30.74M |
BPS | -0.37 |
PBR | -3.09배 |
PER | 없음 (지속적 적자) |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건:
🚨 상장유지 리스크
나스닥은 주가가 1달러 미만으로 30~90일 이상 지속되면 경고→상장폐지 절차에 들어가.
리졸브 AI는 2025년 4월 현재 $1.13 수준이지만, $1.00 근처를 반복하며 리스크 선상에 올라 있는 상태야.
📌 기술적 분석만 보면 과매도 구간은 맞아.
하지만 문제는…
“바닥이라 들어갔다가, 바닥을 깨는 걸 본다”는 말이 있듯
실체 없는 기업은 기술적 반등이 약하고, 회복 시도도 무너지기 쉽다.
리졸브 AI는 한때 AI 붐과 핀테크 성장 기대감에 올라탔던 종목이지만,
본질적으로는 ‘아직 아무것도 갖추지 않은 상태의 비즈니스’였어.
스팩 합병은 때로는 기회의 발판이 되지만,
그 기업이 실제로 무언가를 만들지 않으면
투자자에겐 고점 물량, 장기 투자자에겐 멘탈 지옥만 남게 되지.
✍ 까비’s 한줄 정리
“리졸브 AI의 주가는 ‘실적’이 아니라, ‘환상’에 올라탄 것이었다.
기대가 빠지자 남은 건, 껍데기뿐이었다.”
📉 [상장폐지 리스크] 스타에스엠리츠의 앞날은? (0) | 2025.04.11 |
---|---|
🥤소비주 vs 기술주 : 나스닥 속 조용한 전쟁 (0) | 2025.04.11 |
💹 SK하이닉스 주가와 가장 강하게 연결된 3가지 매크로 변수 (1) | 2025.04.08 |
💰 삼성전자 배당금, 진짜 매력적인가요? (0) | 2025.04.07 |
📈 나스닥 3배 레버리지 ETF(TQQQ) 보유자 생존 전략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