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이슈

“패닉바잉” 이후의 냉각기: 집을 산 사람과 안 산 사람의 갈림길

까비장87 2025. 6. 11. 10:27
반응형

“패닉바잉” 이후의 냉각기: 집을 산 사람과 안 산 사람의 갈림길

1. 2020~21년, 모두가 불안했던 그때

코로나19와 저금리, 공급 부족, 무한 양적완화... 그 시절 부동산 시장은 ‘사는 사람이 이기는 게임’처럼 느껴졌어. 언론은 연일 “서울 아파트, 오늘 아니면 내일 1억 더 비싸질 것”이라 했고, 현실은 매물 없고 줄서기 경쟁에, 청약은 로또였지.

이 때 사람들은 ‘놓치면 끝장’이라는 불안감에 사로잡혔어. 그래서 미래 계획보다 지금의 패닉에 반응한 결과, 집을 산 거야. 이게 바로 패닉바잉의 본질이야.

2. 패닉바잉의 정체: 심리는 어떻게 폭발했는가

사람은 불확실할수록 ‘확실한 자산’에 몰리게 돼. 그 당시 부동산은 금과 같았고, 실제로 ‘내 집 마련은 사치가 아닌 생존’이란 말이 유행했지.

특히 30대 초중반, 아이 키우는 가정, 신혼부부들 사이에서 “지금 아니면 영영 못 산다”는 말이 유행처럼 퍼졌어. 그게 가격을 밀어올리고, 다시 공포를 자극해서… 스스로 만든 버블에 스스로 뛰어든 구조가 만들어졌지.

3. 고점 매수자의 현재: 불안, 후회, 버팀의 삼중주

2024~25년 기준, 이들은 집값이 산 정점에 가까웠던 시기에 매수했어. 그리고 지금은 금리는 급등, 실거래가는 하락, 전세가는 떨어지고, 갭 메우기도 쉽지 않아.

이들의 심리는 이렇지:

  • 😥 “너무 비쌀 때 샀나?” → 후회
  • 😣 “지금 팔면 손해인데…” → 불안
  • 😶 “그래도 나중엔 오르겠지” → 버팀

가장 어려운 건 이 세 감정이 계속해서 반복된다는 것이야. 그리고 이것이 지금 시장에서 **매물잠김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어.

4. 관망파의 심리: ‘안 산 사람’은 안심일까?

반대로 2020~21년, 집을 사지 않은 사람들은 지금 어떨까? 표면적으로는 안심일지 몰라. 하지만…

그들 역시 “언제쯤 사야 하지?”라는 지속적인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어. 뉴스 한 줄, 금리 한 번, 정책 한 마디에 불안감이 증폭</strong되기 때문이지.

관망은 안정감을 주지만, ‘기회의 상실감’도 함께 준다는 게 아이러니야. 그리하여 시장은 지금, **불안과 후회의 공존 구간**이 되어버렸지.

5. 지금은 기로: 재도전 vs 무기한 대기

지금은 시장의 ‘결정 피로감’이 최고조에 이른 시기야. 매수자는 “언제 다시 도전해야 하지?” 고민하고, 매도자는 “지금이라도 팔아야 하나?”를 고민하지.

이 시점에서 시장은 다시 ‘심리 게임’에 들어가. 강남처럼 빠르게 반등하는 지역은 “지금 사야 해!”란 심리를 만들고, 외곽은 “아직도 비싸다”는 인식으로 매수를 미루게 하지.

즉, 재도전의 시점인가, 무기한 대기의 시점인가가 **지금 시장의 가장 핵심적인 갈림길**이 된 거야.

6. 맺으며: ‘행동한 사람’과 ‘기다린 사람’의 교차점

결국 부동산 시장은 **‘가격’보다 ‘심리’가 앞서가는 게임**이야. 패닉바잉이든 관망이든, 누구든 결과는 시간이 지나봐야 알 수 있어.

중요한 건, 이제는 정보보다도 자신만의 기준과 전략이 필요한 시대란 점이야. 남들이 다 산다고 따라가거나, 남들이 다 기다린다고 무기한 대기하는 건 더 이상 유효한 전략이 아니야.

쫑이의 블로그에서는 앞으로도 ‘데이터에 근거한 심리 분석’으로 현명한 부동산 판단을 도와줄게. 놓치지 마시고, 구독+즐찾 부탁해요 😎

반응형
댓글수4